목차
주파수는 전파 또는 음파가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늘 의미하지만, 단위는 Hertz (Hz)늘 사용합니다.
Hertz라는 용어는 전자기파의 존재늘 실험적으로 증명한 독일 물리학자 Heinrich Hertz의 이름에서 파생됩니다. 헤르츠가 처음 전자기파늘 증명했을 때, 그는 전자기파의 발견이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물었고 헤르츠가 맥스웰의 이론을 증명해야 하는 것이 쓸모없다고 대답했다는 흥미로운 일화가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본 자원입니다.
주파수는 일정한 진동을 하는 파로 구성된 정현파 곡선으로 표현됩니다. 파장 (Wavelength)은 파장이 길고 주파수가 낮고 짧으며 주파수가 증가하면 파장의 길이늘 의미합니다. 그리고 1Hz는 1초에 한 번 물체가 진동하면 1kHz가 초당 천 번 진동한다는 뜻입니다.
국가별로 전압(V)과 코드 유형이 달라서 주파수(Hz)가 다르다는 것을 아십니까?
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는 거의 직류 전기늘 사용하지만, 공급된 전기는 전송 효율을 이유로 교환 전류늘 사용합니다. AC 전기가 가장 정상적인 전압이고 전류 파형이 사인파이지만 주파수가 있습니다.
전기모터늘 이용한 전자기기의 수명과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주파수의 변화로 각국의 상업용 전기 주파수가 통일됐습니다. 다른 변압기로 변환된 전자제품의 전압으로도 가능하지만, 주파수가 다르면 변환이 어렵습니다. 최근 전자제품은 110/120 V의 정격전압과 50/60Hz의 주파수로 출시돼 주파수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한국전기사업법은 주파수 유지기준을 60Hz로, 허용범위 0.2Hz늘 위아래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는 우리와 같은 60Hz늘 사용하고, 유럽에선 50Hz늘 주로 사용하고, 일본과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지역에 따라 다른 주파수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국가별, 지역별 주파수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생각보다 쉽습니다. 첫 번째 전기 프로젝트가 각국에서 시작되었을 때 독일 50Hz 시스템과 60Hz의 미국 발전기의 방법에 따라 변경되었습니다.
이때 감각적인 전기생활을 위해 상식적으로 전기주파수늘 살펴봤지만, 무선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주파수의 세계는 무한한 것으로 나타났다.주파수에 대해 궁금해할 때 더 궁금해하는 것 같아서 연구하는 것이 좋다.
댓글 영역